본문 바로가기
투자일기

AI로 투자 시뮬레이션하기 : 버크셔 해서웨이(워렌 버핏) 주식

by 궁_그미 2025. 4. 14.

안녕하세요. 궁그미입니다.

클로드 AI를 한 달 결제해서 사용 중인데, 그냥 두면 아까우니 뭐라도 분석을 시켜봐야겠죠?

최근에 버크셔 해서웨이(워렌 버핏 회사) 주식에 관심이 많이 생겨서 이 주식을 매일 매수하면 수익이 어떻게 될까 궁금해졌어요.

물론,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은 A는 79만 달러, B는 490달러로 한 주당 가격이 너무 높아서 매일 한주씩 구매하는 건 무리이니,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소수점 주식 매수를 활용하는 걸로 가정해봤어요.

 

매일 매수하는 금액은 1달러로, 일단은 환율에 따른 변동은 생각하지 않고 매일 1달러씩 매수할 경우의 수익률을 계산해달라고 했습니다.

 

기간은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수익률을 비교해봤어요. 그리고 그냥 수익률만 계산해달라고 하면 총 투자금액 대비 최종 수익금에 대한 수익률을 계산해서, 수익률이 과소 추정되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일 적립 적금과 비교해서 연 수익률을 계산해봐 달라고 했어요.

 

2023년~2025년 현재까지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 소수점 주문($1) 시 연간 수익률

 

 

AI들은 계산을 할 때 가끔 이상하게 하는 경우가 있어요. 왜 이상해지는지 모르겠지만 중간에 엉뚱한 수식을 넣거나 비교해달라고 했을 때 이상한 수식을 넣거나 할 때가 있어서 100%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어요. 그래도 3년간의 총 투자 성과를 최종 투자금액 대비 수익금으로 보았을 때 6.53%, 연간 4.47%~8.27% 정도의 수익률이 나왔습니다. 특히 주목해볼 만한 건 이러한 수익금을 얻기 위해 일 적립식 적금을 든다면 연복리 금리가 말도 못하게 높아야 한다는 거겠죠?

 

2023년은 거래일 수가 251일이고 2024년은 210일인게 아무래도 좀 이상하긴 한데...

 

혹시 몰라서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2023년부터 현재 2025년 4월 9일까지의 주가 정보를 넣어서 매 영업일마다 1달러씩 매수했을 때의 최종 평가 금액을 확인해봤는데요, 33%라는 수익률이 나오더라고요. 

매일 1달러씩 매수했다면, 마지막 일자의 주가 기준으로 약 192달러의 차익이 발생하고, 10달러씩 매수했다면 1920달러의 차익이 발생했을 거에요. 물론, 연간 수익률이 변동이 큰 편이라서 실제로는 이보다 낮을 수도 있고, 환율에 따른 차이도 있기 때문에 지금처럼 달러 환율이 높을 때 투자하면 나중에 실제 수익률이 더 적을 수도 있어요.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2023년과 2024년도에 각 1년간의 수익률도 보았는데, 희한하게 6%대로 유사하게 나오더라고요? 하루 1달러면 대략 1500원, 연간 거래일수가 대략 250일이라면 연간 375,000원이 필요하고, 하루 10달러씩 투자한다면 연간 375만원이 필요하겠죠? 하루 1달러씩 투자했다면 1년 뒤 약 15달러(22,500원), 10달러씩 투자했다면 약 150달러(225,000원)의 수익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아요. 물론, 수익 실현을 하지 않는다면 계좌 내 평가 금액이 올라가겠죠?

 

AI로 투자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면서 새로운 투자 방식에 대해 고민할 때마다 가슴이 두근거려요. 물론 과거 데이터로 시뮬레이션 한 것과 실제 결과는 크게 다를 수 있겠지만, 언젠가는 투자 수익으로 월급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더 설레는 것 같아요. 

 

매일 1달러, 또는 매일 10달러라는 금액이 하루하루 보면 크지 않은 금액이지만 모이면 커지는 금액이기에, 투자하기 전에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 같아요. 투자를 진행하게 된다면, 해당 투자에 대한 일지도 써 볼게요.

 

그럼, 오늘도 조기 은퇴를 위한 재테크 화이팅!

 

 

"본 블로그에 게시된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모든 투자 결정은 스스로 판단해야 하며, 이로 인한 손실에 대해 작성자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게시된 정보는 정확성과 시의성을 보장하지 않으니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