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교통비를 환급해주는 알뜰교통카드에 대해서 글을 썼었죠.
https://gunggeume.tistory.com/16
알뜰교통카드플러스 혜택 & 즐겨찾기 기능 사용 후기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지원은 예전부터 있었어요. 예를 들면, 한달 동안 지하철을 많이 타는 사람은 정기권을 사용해서 혜택을 보기도 했었는데, 버스와 지하철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 환승 혜택
gunggeume.tistory.com
그런데 올해(2024년) 1월에 서울시에서 [기후동행카드] 라는걸 출시했다고 해요.
청년희망적금, 도약계좌, 이런 식으로 유사한 혜택을 이름 바꾸고 대상이랑 내용 바꾸고 헷갈리게 해서 주더니,
교통비도 이름만 바꿔서 새로 출시하는건가? 나 알뜰교통카드 이제 2개월 썼는데...ㅠ.ㅠ
라고 생각 했었어요..
그런데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시범사업으로 진행 중이고, 서울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인 것 같더라구요?
예전의 지하철 정기권처럼 한달 동안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기권 형태라고 해서 알아봤어요.
기후동행카드
■ 사업 기간 : 2024년 1/27(토) ~ 6/30(일)
■ 이용 가능 범위 : 서울시 내 지하철, 버스, 따릉이 등
■ 이용 금액 : 기본형 62,000원 / 따릉이 포함 65,000원
■ 이용 기간 : 1회 충전으로 30일간 사용 가능
내용을 보니까 서울시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한번 구매(충전)하면 30일간 사용할 수 있는 거라서
서울 지역 내에서 대중교통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유리한 카드인 것 같아요.
사실 저는 출퇴근을 대중교통으로 하긴 하지만, 가끔 차로 출퇴근 하는 경우도 있어서 한 달에 교통비가 5만원이 채 안 나와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는 월 15회 이상 사용하면 회당 최대 250원 환급이 되니까 제가 사용하기 좋은데
기후동행카드는 기본 충전금액이 62,000원이라 월 대중교통비 5만원도 안쓰는 제가 사용할 수는 없는 카드더라구요?
그래도 이왕 알아보기 시작한 거,
기후동행카드와 알뜰교통카드 비교를 한 번 해보려고 해요.
기후동행카드 vs 알뜰교통카드
과연 이 두 종류의 카드, 누가 쓰면 이득일까요?
1) 대중 교통 사용 지역
첫 번째 비교 조건은, 대중 교통 사용 지역이에요.
기후동행카드의 경우 서울 지역 지하철 서울 면허 버스, 이런 식으로 서울 내에 있는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요.
서울에서 타서 서울 외 지역에서 내리게 되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지 못하고, 역무원이 별도 요금을 징수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러니까, 서울 외 지역을 거의 나가지 않는 사람이라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게 유리하고,
서울 주변의 경기, 인천 등 지역을 자주 오가는 사람이라면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를 사용하시는 게 좋아요!
2)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
두 번째 비교 조건은, 한달 간의 대중교통 이용 금액이에요.
1)번에서 대중교통을 사용하는 지역이 거의 대부분 서울이다, 라고 하신다면 월 이용금액에 따라 기후동행카드와 알뜰교통카드를 선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우선, 저처럼 기본적으로 대중교통비를 한달에 5~6만원도 안 쓰시는 분은 6만원이 넘는 기후동행카드를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겠죠?
그리고 알뜰교통카드의 경우 기본(일반), 청년층, 저소득층에 따라 환급해주는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인이 어떤 분류에 속하는지에 따라서도 결론이 달라질 것 같아요.
알뜰교통카드는 월 60회까지 이용한 요금에 대해 환급을 해 주기 때문에 최대 금액을 기준으로 기후동행카드와 비교해볼게요.
■ 알뜰교통카드 환급액
구분 | 월 최대 환급 횟수 |
사용 요금 (지하철 카드 기본료) |
최대 환급액 / 회 | 최대 환급액 / 월 (월 최대 환급횟수 x 최대 환급액) |
최종 교통비 |
일반 | 60회 | 84,000원 | 250 | 15,000원 | 69,000원 |
청년 | 350 | 21,000원 | 63,000원 | ||
저소득층 | 700 | 42,000원 | 42,000원 |
일반층의 경우, 월 60회를 이용하면 알뜰교통카드로 환급을 받아도 69,000원이라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게 더 이득이네요.
계산해보니 일반층은 월 54회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알뜰교통카드로 사용했다면 최종 교통비가 약 62,100원이 나와요.
따라서, 매월 대중교통(지하철 기준)을 54회 이상 사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게 조금 더 이득이 될 수 있겠어요.
청년의 경우에는 기후동행카드의 월정액(62,000원)과 비슷한 금액으로 교통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월 60회 이상으로 많이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게 조금 더 좋을 듯 해요. (어차피 알뜰교통카드는 60회까지만 환급해주고, 그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추가 환급이 없거든요)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는게 훨씬 더 이득입니다.
물론, 위의 계산은 지하철 기본료만으로 계산한 거라서, 각자 이용하는 대중교통 경로에 따라 최종 교통비가 달라지기 때문에 각자 자신의 사례를 각각 계산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기후동행카드는 따릉이 사용을 포함한 버전이 따로 있어서, 평소 따릉이를 많이 이용할 경우에도 기후동행카드가 더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기후동행카드 사용 방법이나 실제 사용 가능한 구간 등에 대한 정보는 사업 소개 페이지에서 확인해보세요.
https://news.seoul.go.kr/traffic/archives/510651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소개('24.1.27.~6.30.)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사용방법 안내
news.seoul.go.kr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금 추천 - 토스뱅크 굴비적금(5%) (3) | 2024.02.07 |
---|---|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풍차돌리기 - 최대 예금 효과(6.5%) (0) | 2024.01.31 |
알뜰교통카드플러스 혜택 & 즐겨찾기 기능 사용 후기 (0) | 2024.01.28 |
파킹통장 추천 - 케이뱅크 생활통장 (3%) (2) | 2024.01.26 |
케이뱅크 주거래우대 자유적금 (최대 4.8%)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