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카카오뱅크 한달적금을 풍차돌리기(3개) 하는 방법을 설명해드리려고 해요.
저는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을 가입해서 풍차를 돌리다가, 금리가 7%에서 6%로 떨어진 다음부터는 한달적금만 하고 있어요.
카카오뱅크 한달적금은 말 그대로 한달간 가입하는 적금인데요,
일반적인 적금은 한달에 한번 적금을 넣는데, 한달적금은 매일매일 넣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어요.
(본 글은 2024년 버전이라서, 2025년 버전 업데이트글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주세요)
https://gunggeume.tistory.com/60
[2025]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풍차돌리기 (최대 예금효과 5%)
안녕하세요. 작년에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풍차돌리기 방법에 대해서 설명글을 썼었는데, 당시에는 8%였던 금리가 지금은 7%가 되어서 당시 썼던 글의 일부 내용이 현재 시점에 맞지 않는 듯 해요
gunggeume.tistory.com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기본 소개
■ 금리 : 8%
■ 가입기간 : 31일
■ 가입금액 : 100원 ~ 3만원 (매일)
■ 가입계좌 : 1인당 3개 가능
1인당 3개까지 가입 가능하다는 걸 보고, 이렇게 한번 생각을 해 봤어요.
한달 적금이니까, 31일마다 만기가 돌아오겠고, 그 때마다 새로 적금을 드는 풍차돌리기를 하는거에요.
그런데 3개 적금을 각 3만원씩 한번에 가입을 하면 매일 9만원 x 31일= 최대 279만원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와요.
이렇게 최대로 가입을 하게 되면 만기가 되었을 때 279만원의 여유금이 생겼다가, 또 마지막에는 279만원이 전부 적금에 들어가있기 때문에 자금 흐름이 좀.. 안 좋게 느껴졌어요.
그래서 한달동안 3개 계좌를 이어달리기처럼 풍차돌리기를 해 볼까?
하고 10일마다 3만원씩 3개 계좌를 가입하는 걸 구상해 봤어요.
한달적금 풍차돌리기
1) 1일차, 1개 계좌 3만원 가입 (계좌1)
- 1~10일차 : 총 3만원 x 10일 = 30만원
2) 11일차, 1개 계좌 추가 3만원 가입 (계좌2)
- 계좌1 : 1~10일차 30만원 + 11~20일차 추가 30만원(3만원 x 10일) = 총 60만원
- 계좌2 : 11~20일차 30만원
⇒ 여기까지 총 90만원 필요
3) 21일차, 1개 계좌 추가 3만원 가입 (계좌3)
- 계좌 1 : 1~20일차 60만원 + 21~31일차 추가 33만원(3만원 x 11일) = 총 93만원
- 계좌 2 : 11~20일차 30만원 + 21~31일차 추가 33만원 (3만원 x 11일) = 총 63만원
- 계좌 3 : 21~31일차 33만원
⇒ 여기까지 총 189만원 필요
31일까지 입금을 하고, 32일차가 되는 날 첫 번째 한달적금의 만기가 돌아옵니다.
그럼 그걸로 바로 새로운 적금을 들어요.
4) 32일차, 계좌1 만기 > 1개 계좌 추가 3만원 가입 (계좌1')
- 계좌 1 : 32일차 만기 > 원금 93만원 + 세후 이자 2,771원 입금
- 계좌 2 : 11~31일차 63만원 + 32~41일차 30만원 = 총 93만원
- 계좌 3 : 21~31일차 33만원 + 32~41일차 30만원 = 63만원
- 계좌 1' : 32~41일차 30만원
⇒ 원래대로라면 10일간의 3개 적금에 들어갈 90만원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32일차에 만기된 93만원이 있기 때문에 추가 자금은 필요치 않습니다.
따라서 최대로 필요한 금액은 189만원이에요.
189만원의 여유자금만 있다면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3개 계좌로 풍차돌리기가 가능합니다.
1년간의 총 이자를 한번 계산해볼까요?
가입을 진행한 첫 달을 제외하고, 만기가 2월부터 돌아오기 때문에 매달 3개의 만기 이자에 11개월을 곱하면
2,771원 x 월 3회 만기 x 11개월 = 91,443원 입니다.
만약 189만원을 한달적금이 아니라 예금에 넣어서 위와 같은 이자를 받으려면, 약 6.35% 예금에 넣어야 가능한 이자네요.
189만원의 여유자금이 있다면,
요즘에 6.35%의 예금은 거의 없으니 카카오뱅크 한달적금을 통해 풍차돌리기를 하는게 훨씬 이득이겠죠?
물론, 매일매일 직접 적립을 해줘야 한다는 점이 좀 번거롭긴 하지만,
원래 티끌모아 태산 만들려면 부지런해야 해요 ^^;
추가 이자를 얻으려면?
여기서 조금 더 부지런하다면, 카카오뱅크에 남아있는 잔액들을 타 파킹통장으로 옮겨서 추가 수익을 기대해볼 수 있어요.
카카오뱅크 입출금계좌는 금리가 0.1%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한달적금을 위해 넣어둔 잔여 금액들에 대해 이자가 크게 붙지 않는답니다.
만약, 금리가 높은 타은행 파킹통장/입출금계좌가 있으시다면, 처음에 189만원을 그 은행에 넣어두고,
매일 9만원씩 카카오뱅크로 이체해서 한달적금 적립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만기가 되었다면, 또 그 만기금을 파킹통장으로 옮겨두고, 매일 9만원씩만 카카오뱅크에 넣는거에요.
그럼 파킹통장에 들어있는 금액(월간 0~90만원 정도)의 일평균 잔액에 대해 이자가 추가로 들어오겠죠?
금리가 3.5%인 파킹통장에 넣어두고 매일 9만원씩 이체하여 입금할 경우, 파킹통장 잔액에 대한 이자는 한달에 약 1천원 정도가 될 것 같아요.
저는 초반에는 이렇게 파킹통장에서 카뱅으로, 카뱅에서 각 한달적금별로 적립을 해 주었는데요,
그렇게 하다보니 파킹통장에 있는 잔액 관리가 힘들어서 (생활비, 예비비를 파킹통장에 넣어두는데, 금액이 섞이더라구요)
지금은 그냥 카뱅에 전액 넣어두고, 매일 들어가서 한달적금 적립하기만 눌러주고 있어요.
파킹통장에 넣었다 빼는 건 제외하더라도,
한달적금 풍차돌리기만 해도 매월 3번의 적금 만기로 월 8,313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여러분도 한달적금으로 풍차돌리기 한번 해보세요 :)
https://www.kakaobank.com/products/m1savings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춘식이와 한달동안 매일매일 저금
www.kakaobank.com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금을 예금처럼! 선납이연 활용하기 1탄 (2) | 2024.11.14 |
---|---|
적금 추천 - 토스뱅크 굴비적금(5%) (3) | 2024.02.07 |
서울 시범사업 - 기후동행카드 (0) | 2024.01.30 |
알뜰교통카드플러스 혜택 & 즐겨찾기 기능 사용 후기 (0) | 2024.01.28 |
파킹통장 추천 - 케이뱅크 생활통장 (3%) (2) | 2024.01.26 |